가족구성원 간의 정서적 애착이 클수록 그리고 가족 내에서 자율성이 높을수록 상상적 관중과 개인적 우화의 경향이 높게 나왔다(김인경, 1993)
이는 자기중심성이 정서적 안정감과 자기본위적인 행동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사랑을 많이 받은 청년은 자신의 가치에 대해 과대평가한다. 자율성이 높았던 청년은 자신의 능력에 대해 과대평가한다. 이러한 과대평가가 자기중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생각된다.
Posted by 소리끝
,
Dweck의 1980년대 후반 연구에 따르면 남성은 자신의 성공을 자신의 능력에 귀인하고 실패를 자신의 노력 혹은 운 부족으로 귀인한다. 반면 여성은 자신의 성공은 운 혹은 노력으로 귀인하고 자신의 실패를 능력에 귀인한다.
한마디로 여성은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가진다. 실패를 자신의 노력부족으로 귀인하는 것이 능력부족으로 귀인하는 것보다 미래지향적이다. 능력부족으로의 귀인은 자칫하면 무력감으로 이어지고, 더 나은 발전을 이끌어낼 수가 없다. 여성이 이런 경향을 가진 것은 사회적 통념과 편견 그리고 압박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사회가 기대하는 성취도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고, 여성은 성취동기가 떨어진다. 결국 실패를 자신의 능력부족으로 귀인하는 자기비하가 발생한다.
Posted by 소리끝
,
1. 좋은 교육
  논리적 설명
  일관된 교육법

2. 나쁜 교육
  권력행사 - 물리력 행사, 강제 굴복
  애정철회 - 또다시 잘못을 반복하면 더 이상 놀아주지 않겠다거나 사랑하지 않겠다는 협박
  비일관성 - 가장 안 좋음. 어떠한 동기도 잃고 혼란스러움. 도덕적 개념 자체가 설 수가 없음. 개념이라는 것은 경험의 덩어리이자, 지식의 덩어리 비일관적인 태도는 도덕적 혹은 자기 규제의 개념이 생길 수 조차 없게 한다.
Posted by 소리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