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everyone. My name is ...
Before I begin, let me ask two questions to you.
How many you guys do social network?
How many do you have twitter? How about blog? Then how about cyworld?
Yes, most of you have social network.
Then how many do you guys fall in love with somebody?
Nobody? It's tragedy.
The subject of my presentation is about the relation between twitter and feeling love, genersity.
The neuroeconomist Zak is the doctor of oxytosin. He research about the influence of oxytosin when we are doing something or when we feel something.
There are great correlation with oxytosin and our generosity.
When the person is inhaled by the oxytosin, he or she become more generous so they want to donate more money than others.
And if we feel sympathy, compassion or somekind of love, the oxytosin is growing on us.
Dr. Zak has done experiment with the person who is doing twitter with somebody, and we measure the amount of oxytosin in his body. The experimentee tweet with others with the normal conversation with some humor and jokes. The result of that experiment is that the oxytosin is increased in his body. The amount of increasing is similar with that of the mother who is in the wedding march of daughter. It shows that we have experienced tweeter as if it is real relationship in the world.
The social network at the online makes us feel more generous and more sympathy and more feeling love with somebody. With this oxytosin our streess is being lessen.
The online social network make our life more lubricant, doesn't it?
However, I have two concern about this phenomenon.
The first one is about the dangerous of control of us by using oxytosin or online social network in our shopping.
The second one is the illusion of social networking in online, or the collapse of social network in online.
The article also indicate the dangerous of the using of oxytosin as perchasing more.
We always notice about this with social looking.
The second worry is about the inbalnce of online and offline social network. At the article the author says that the social network makes us feel more comfortable and less stress and less cardiovascular desease no matter how far the friends but matter with how many friends. However, the online network link is very narrow, weak, it can be dislinked very easily. Even the online network is similar as the offline "real" network, it cannot replace the real network. Because of that we feel as same as online or offline, we should balance with those two network.
In conclusion, we should notice the dangerous using of neuroloical expeirment result and be balacned with on-line and off-line social network. If we use on-line social network wisely, with off-line social network, our life will be more happy, more with oxytosin, less stress. Thank you.

문제점. Transition을 쓰지 않았고, 단어가 어색한 것이 많았으며, 관점이 두개가 섞여버렸다.
다음 차례에는 관점을 하나로 맞추거나 아니면 두개로 확실히 나눈다. 그리고 단어를 찾아가며 정확한 단어를 쓴다.


Posted by 소리끝
,

자동기술5

현실은 말놀이 2010. 7. 11. 00:36
풀은 자라고 어디선가 비명은 들리고 신음도 들리고 노래 소리도 들린다.
도서관 옥상에서 먼곳을 바라보며 친구를 기다린다.
지웠다 썼다. 지웠다 썼다. 이 두 문장이 써지기 까지 수많은 문장이 지워지고 다시 채워졌다. 파도가 모래알들을 고르듯이. 그렇게 숨을 골랐다.
재생. 재생. play 보다는 재생. 다시 살아나는 음악들. 너의 한 곡 한 곡을 그 꺽어져 들어가는 곡을 바르게 펴기 위해서는 오선지를 구부려야 한다. 구부러진 오선지 사이로 모든 음은 일자로 서고, 오선지가 하나의 음을 형성한다. 각 줄은 서로 따로 오르락 내리락 하며 화음을 만들어내고, 이 의미없는 문장들은 의미를 간절히 기도한다.
모든 걸 다 쏟아내고 싶었다. 구토. 구토감. 잠은 오고, 비도 오고, 내일도 온다. 새벽은 머뭇거리고, 오랜 애인은 오지 않으며, 새로운 날도 오지 않는다. 반복되는 날, 내 자신이 너무나 두려워 모든 것을 미루는 날들을 연속이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 내 속이 발랑 까져버릴 것 같은 두려움.
아무도 약속하지 않던 발저림. 발을 땅에 디디면 땅은 피를 부르고, 발저림은 나아진다. 그 무엇도 아닌 피의 부재. 피의 부재가 떨림을 부르고, 떨림은 피를 부른다. 부르르 피가 떨리며 내려가면 이 의미없는 타자소리도 끝이난다. 재생. 또 재생. 재생은 언제나 죽음의 재현이다.
Posted by 소리끝
,

자동기술4

현실은 말놀이 2010. 7. 11. 00:26
차가운 웃음에 차가운 마음을 기댄다.
지금은 무작위한 분자들의 충돌을 일으킨다.
생명이 탄생하길 무한정 기다린다.
수많은 분자들이 부딪쳐가며 새로운 분자들을 만들어내고
다른 분자를 흡수한 분자는 그 크기를 더해간다.
분자들이 엉키고 설키며 다양성은 커져간다.
자기 자신을 촉매할 수 있게 된 분자들은 그 수를 불려가고, 다른 분자들과 교합하며 하나의 유기체를 만들어낸다.
그 최초의 자기촉매집합들은 일이 이렇게 커질지 몰랐다.
너무나 복잡하게 얽혀버려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된 그들은 다시 바다 깊은 속으로 들어가 스스로를 분해해버렸다. 이 모든 것의 책임을 스스로에게 묻고.
Posted by 소리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