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버스의 <마음의 기원>(역서 제목)에서는 성장기 시절 아버지의 부재가 신체적 성숙을 앞당기고 장기적 짝짓기 보다는 단기적 짝짓기 전략을 추구하게 한다고 말한다. 일단 보자.
성장기 동안 아버지의 부재는 확실히 단기적 짝짓기 전략의 추구와 관련이 있다. 그 예로 파라과이의 아체족과 벨리즈의 마야인들 사이에서는 아버지의 부재가 남성들이 장기적 짝짓기 관계를 유지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 에너지, 자원을 약속하는 것을 꺼린다고 말하는 정도와 상관이 있었다(Waynforth, Hurtado, & Hill, 1998). 여성과 남성 모두가 포함된 다른 연구에서는 아버지 없는 집에서 성장하는 아이들이 상대적으로 사춘기를 더 일찍 접하고, 더 이른 나이에 성교를 하고 단기적 짝짓기 전략을 추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보고했다(예를 들어, Ellis, Mcfadyen-Ketchum, Dodge, Pettis, &Bates, 1999; Surbey, 1998). 흥미롭게도 한 연구에서는 의붓아버지의 존재가 생물학적 아버지의 부재보다 소녀의 이른 성적 성숙에 더 중요한 요인이라고 밝혀졌다. 이른 성적 성숙은 단기적 짝짓기 전략의 추구에 대한 선행요인으로 보인다(Ellis & Garber, 2000). 반대로 생물학적 아버지는 딸이 이른 성적 접촉을 하지 못하도록 막는 '딸 보호자' 역할을 할 것이다(Surbey, 1998). 자신의 부모에 대한 열악한 애착은 여성들 사이에서 포르노그래피를 볼 가능성이 높은 것과 관련 있었으며 남녀 모두에서 성적인 난교의 가능성을 예측했다(Wash, 1995, 1999).
-<마음의 기원> 2판, 데이비드 버스, 나노미디어, 273 페이지
그런데 대체 이유가 뭘까. 어떤 과정을 통해 환경적인 요인이 발달적 요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그리고 대체 어떤 이유로 아버지의 부재가 단기적 짝짓기 전략을 갖도록 유도하는 걸까. 다른 챕터에서 심리적 이유에 대해 부연설명을 한다.
심리학자 벨스키, 스타인버그 및 드리퍼(Belsky, Steinberg, & Draper, 1991)는 아동의 인생 초기에 아버지의 출현이나 부재가 그 아이가 어른이 된 후에 어떤 종류의 성적 전략을 사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 이론에 다르면 5살부터 7살 사이에 아버지가 없는 가정에서 자란 사람은 부모의 자원이 믿을만하거나 예측할 만하게 제공되지 않을 것이며 성인들의 배우자 관계도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는 기대를 발달시킨다. 이런 사람들은 성적으로 조숙하고, 성적 시발을 빨리하며, 파트너를 빈번하게 교환하는 등의 특징을 보이는 성적 전략을 발달시킨다. 이런 전략들은 투자는 적게 하면서 많은 수의 자손을 생산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외향적이고 충동적인 성격이 이런 전략과 동반될 것이며, 다른 사람들을 믿을 수 없다고 지각하고 관계는 일시적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이들이 단기간의 성적 제휴에서 추구하는 자원은 기회주의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과 즉각적으로 추출될 수 있는 것들이다.
-566페이지
아버지의 부재가 배우자 관계에 대한 불신을 심고 그것이 단기적 짝짓기 전략을 택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 사람도 언젠간 떠날 것이라는 불안감이 빠른 성관계를 유도할 순 있다. 그런데 빠른 성적 성숙을 가져온다는 것은 어떻게 설명해야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