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지는 과제들과 해야 할 일들 속에 장기적인 계획을 지켜나가기란 쉽지 않다. 대학생활에서, 특히 이공계 대학생이라면 쏟아지는 과제들 속에 허덕이다 하루가 홀딱 지나가버리기 일쑤이다. 장기적으로 세워놓은 계획은 어쩌다 한번씩 실행될 뿐이고, 결국 뒤에 가면 남는 것이 없게 된다.
그런데 그걸 알면서도 평소에는 과제 제출일이 다가와서 불안하고, 시험기간에는 시험 때문에 불안해서 지금 당장은 필요가 없는 일들은 하지 않게 된다.
그 불안감을 무시할 수 있는가가 장기적 계획 달성의 시금석이다. 그리고 장기적 계획 달성 혹은 진행이 지나보니 남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장기적' 불안감을 해소해주기 때문에 단기적 계획 달성에도 도움을 준다.

단기적으로는 절대 달성될 수 없고, 오랜 시간 꾸준히 해야만 되는 한 두 가지의 일과를 만들자. 취미 생활도 좋고 학업이나 일과 관련된 것이라도 좋다.
악기 연주, 글쓰기, 비전공 관심 분야 독서, 운동, 외국어 공부 등 어떤 것이라도 좋다.
하루 한시간이나 두시간 정도는 무슨 일이 있어도 그 일은 한다. 숙제가 쌓여있어도, 시험이 코앞이라도 상관하지 않는다. 처음엔 불안감을 이기기 힘들겠지만, 사실 그 시간을 할 일에 투자한다 하더라도 그 효율을 따지면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오히려 매일 하던 일과가 투입됨으로써 톱니바퀴가 맞물려 돌아가듯이 하루가 돌아간다. 그리고 항상 그 일과를 감안하기 때문에 바쁠 때는 긴장을 늦출 수 없다. 만약 하던 일과를 바쁘니 안해야겠다고 마음 먹으면, 갑자기 마음에 여유가 생기게 되고, 집중력은 오히려 떨어진다.
신변에 큰 변화가 생기거나, 심리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일이 생기지 않는 한 일과를 멈추지 않는다. 매일 하는 일과는 결코 전체 일에 방해되지 않는다. 이건 개인적인 경험이다.
무엇을 선택할지는 개인의 자유이지만, 장기적으로 하지 않으면 되지 않는 일들을 고르면 좋다. 만약 그것이 자리를 잡는다면 장기적인 안정감이 생기고, 다른 업무도 능률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자리 잡기 전까지의 불안감을 어떻게 '무시'하느냐가 관건이다.

Posted by 소리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