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적 조건형성: 중립적인 자극과 자연적인 어떤 사건이 반복되어, 자연적인 어떤 사건에 반응하는 무조건적 반응이 중립적인 자극만으로 유도되는 것.
예시>
미조건화 자극 (Unconditioned stimulus): 음식
미조건화 반응 (Unconditioned response): (음식에) 침흘리기
조건화 자극 (Conditioned stimulus): 종소리
조건화 반응 (Conditioned stimulus): (종소리에) 침흘리기
강화(reinforcement): 조건화 자극을 주었을 때 조건화 반응이 나타날 확률이 높아지는 것. 즉, 미조건화 자극과 조건화 자극이 함께 등장하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다.
소멸(extinction): 미조건화 자극만이 주어지거나, 조건화 자극만 주어짐으로써 고전적 조건형성이 약화되거나 소멸되는 것.
자극의 일반화(stimulation generalization): 조건화 반응을 위한 조건화 자극의 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매일 치던 종이 아닌 다른 종류의 종을 쳐도 조건반응이 일어난다면 자극의 일반화이다.
자극의 변별화(differentiation): 자극의 일반화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특정한 조건화 자극에만 조건반응이 일어나도록 분화되는 것이 자극의 변별화다.
예시>
미조건화 자극 (Unconditioned stimulus): 음식
미조건화 반응 (Unconditioned response): (음식에) 침흘리기
조건화 자극 (Conditioned stimulus): 종소리
조건화 반응 (Conditioned stimulus): (종소리에) 침흘리기
강화(reinforcement): 조건화 자극을 주었을 때 조건화 반응이 나타날 확률이 높아지는 것. 즉, 미조건화 자극과 조건화 자극이 함께 등장하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다.
소멸(extinction): 미조건화 자극만이 주어지거나, 조건화 자극만 주어짐으로써 고전적 조건형성이 약화되거나 소멸되는 것.
자극의 일반화(stimulation generalization): 조건화 반응을 위한 조건화 자극의 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매일 치던 종이 아닌 다른 종류의 종을 쳐도 조건반응이 일어난다면 자극의 일반화이다.
자극의 변별화(differentiation): 자극의 일반화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특정한 조건화 자극에만 조건반응이 일어나도록 분화되는 것이 자극의 변별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