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aget은 아동의 혼잣말을 자기중심적이고 미성숙한 것이라고 보았다. 자기 자신만을 인지하고 주위의 사람들을 신경쓰기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Vygotsky는 혼자말이 아동의 사고발달에 중요한 도구라고 말한다. 어른이 되면 혼자말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아동의 혼잣말이 미성숙을 의미하는 것은 맞다. 그러나 혼잣말은 성숙하기 위한 도구이다.
Vygotsky는 아동들이 자신의 사고과정과 행동을 이끌어 가기 위해서 언어를 사용한다고 말한다. 때로는 자기조절을 하는 역할을 하며, 때로는 자기 지시적 목적으로 사용한다. 자기조절의 예는 하지 말아야 할 일, 혹은 해야 할 일을 속으로 되뇌이면서 자기를 통제하는 것이다. 자기 지시적 목적도 이와 비슷하다. 누군가의 도움없이 새로운 과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큰 소리로 자기 자신에게 지시를 내리는 것이다. 충동적이지만 동시에 수동적인 행동에서, 자기통제적이고 능동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혼잣말을 하나의 도구로 사용한다. 자기통제의 내면화의 과정에서 언어를 이용하는 것이다. 어른의 경우에도 자기 통제를 위해 혼잣말을 하는 경우가 있다. 언어로 되뇌이면 확실히 그냥 통제하는 것보다는 도움이 된다. 다만 어른의 경우에는 속으로 말하지 겉으로 드러내지는 않는다.
어려운 문제에 당도했을 때도 아이들은 혼잣말로 사고를 통제하는데, 이 또한 어른의 도움을 받던 과정을 내면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지시에 의한 조절 -> 소리내는 혼잣말을 통한 조정 -> 소리 내지 않는 혼잣말을 통한 조정
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물론 어른이 되어서도 자주 소리내어 혼잣말을 한다면 아동기의 자기중심성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뜻이니 걱정해야 한다.
Vygotsky는 아동들이 자신의 사고과정과 행동을 이끌어 가기 위해서 언어를 사용한다고 말한다. 때로는 자기조절을 하는 역할을 하며, 때로는 자기 지시적 목적으로 사용한다. 자기조절의 예는 하지 말아야 할 일, 혹은 해야 할 일을 속으로 되뇌이면서 자기를 통제하는 것이다. 자기 지시적 목적도 이와 비슷하다. 누군가의 도움없이 새로운 과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큰 소리로 자기 자신에게 지시를 내리는 것이다. 충동적이지만 동시에 수동적인 행동에서, 자기통제적이고 능동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혼잣말을 하나의 도구로 사용한다. 자기통제의 내면화의 과정에서 언어를 이용하는 것이다. 어른의 경우에도 자기 통제를 위해 혼잣말을 하는 경우가 있다. 언어로 되뇌이면 확실히 그냥 통제하는 것보다는 도움이 된다. 다만 어른의 경우에는 속으로 말하지 겉으로 드러내지는 않는다.
어려운 문제에 당도했을 때도 아이들은 혼잣말로 사고를 통제하는데, 이 또한 어른의 도움을 받던 과정을 내면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지시에 의한 조절 -> 소리내는 혼잣말을 통한 조정 -> 소리 내지 않는 혼잣말을 통한 조정
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물론 어른이 되어서도 자주 소리내어 혼잣말을 한다면 아동기의 자기중심성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뜻이니 걱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