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규 교수의 '게임이론과 진화 다이내믹스'를 읽었다. 책에 대한 코멘트는 다른 블로그에 하고 싶고, 연습장의 연습장 겪인 여기에는 읽으면서 이해 못한 부분, 똑같이 유도해내지 못한 수식, 의문이 갔던 부분을 정리해놓으련다.
1. (141p) 공통지식, 이 메일이라던가 공동 공격 개시를 위한 전령의 예들이 굉장히 재미있는데, 알 것 같으면서 확실하게 오지 않는다. 알쏭달쏭이라는 말이 딱인 부분.
2. (208p) 이전기보다 x_1이 증가할 확률의 팩터에서 베타를 정규화시켜주는 파라미터로 놓았는데, 일단 0에서 1로 정규화해야 하는 이유를 확실히 이해 못했고, 뒷부분에 베타를 u(x,x)의 역수로 대입했는데, 그 값이 왜 정규화 시켜주는지 계산하지 못했다.
3. (221p) 변형된 가위바위보에서 점점 안쪽을 향해가는 동학적 경로가 원점에 다다른 뒤에는 어떻게 변할지 잘 모르겠다.
4. (225p) y_1이라고 칭한 부분이 y_2가 되어야지 맞는 것 같다. 그렇지 않다면 다른 값들을 y_1에 맞게 바꿔주던가.
5. (253p) 파레토 우월한 결과들의 집합 중 어느 것이라도 부분게임 완전 내쉬균형을 이룬다는데, 그 균형들 중에 어디를 찾아가는지를 모르겠다. 아니 부분게임 완전 내쉬균형을 내가 완전히 이해하지 못해서 이 정리1 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한 듯하다.
6. (267p) 볼록결합을 통해 평균 보수 다이어그램을 그리는 법을 모르겠다. 이건 내가 기하학에 약하기 때문이다.
7. (307p) 유인구간을 가르는 경계선이 왜 그림 10.2처럼 그려지는지 깊이 생각해보지 않았다.
8. (317p) 손떨림을 넣었을 때의 계산식 그냥 보기에도 복잡한데, 어쨌든 유도에 실패했다.
9. (355p) 수식 12.1, 12.2, 12.3 처럼 계산하려면 소집단간의 구성원 수의 차이가 없어야 하는데, 내가 이해한 바에 따르면 수의 차이가 생겨 이렇게 수식을 전개하면 안 되는 것 같다. 중간에 내가 잘못 생각한 것 같기도 하고 다시 따져봐야한다.
10. (365p) 바로 앞 9번과 같은 이유로 다시 확인해봐야 된다. 그리고 부록 부분 수식을 유도해내지 못했다.
11. (391p) 집단 간의 전쟁을 가정했을 때, 개인이 협력 전략으로 전환했을 때의 보수의 변화 -c + 2k(lambda_0)/n 을 잘 모르겠다.
12. (402p) 이 페이지의 설명대로 게임을 변형시키더라도 C만 가진 그룹에서 D로 전환될 수밖에 없고, 결국 C는 소멸해야 되는데 앞 페이지의 그림 13.6은 끊임없이 오르락 내리락 하며 유지되고 있는 것이 의아하다.
1. (141p) 공통지식, 이 메일이라던가 공동 공격 개시를 위한 전령의 예들이 굉장히 재미있는데, 알 것 같으면서 확실하게 오지 않는다. 알쏭달쏭이라는 말이 딱인 부분.
2. (208p) 이전기보다 x_1이 증가할 확률의 팩터에서 베타를 정규화시켜주는 파라미터로 놓았는데, 일단 0에서 1로 정규화해야 하는 이유를 확실히 이해 못했고, 뒷부분에 베타를 u(x,x)의 역수로 대입했는데, 그 값이 왜 정규화 시켜주는지 계산하지 못했다.
3. (221p) 변형된 가위바위보에서 점점 안쪽을 향해가는 동학적 경로가 원점에 다다른 뒤에는 어떻게 변할지 잘 모르겠다.
4. (225p) y_1이라고 칭한 부분이 y_2가 되어야지 맞는 것 같다. 그렇지 않다면 다른 값들을 y_1에 맞게 바꿔주던가.
5. (253p) 파레토 우월한 결과들의 집합 중 어느 것이라도 부분게임 완전 내쉬균형을 이룬다는데, 그 균형들 중에 어디를 찾아가는지를 모르겠다. 아니 부분게임 완전 내쉬균형을 내가 완전히 이해하지 못해서 이 정리1 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한 듯하다.
6. (267p) 볼록결합을 통해 평균 보수 다이어그램을 그리는 법을 모르겠다. 이건 내가 기하학에 약하기 때문이다.
7. (307p) 유인구간을 가르는 경계선이 왜 그림 10.2처럼 그려지는지 깊이 생각해보지 않았다.
8. (317p) 손떨림을 넣었을 때의 계산식 그냥 보기에도 복잡한데, 어쨌든 유도에 실패했다.
9. (355p) 수식 12.1, 12.2, 12.3 처럼 계산하려면 소집단간의 구성원 수의 차이가 없어야 하는데, 내가 이해한 바에 따르면 수의 차이가 생겨 이렇게 수식을 전개하면 안 되는 것 같다. 중간에 내가 잘못 생각한 것 같기도 하고 다시 따져봐야한다.
10. (365p) 바로 앞 9번과 같은 이유로 다시 확인해봐야 된다. 그리고 부록 부분 수식을 유도해내지 못했다.
11. (391p) 집단 간의 전쟁을 가정했을 때, 개인이 협력 전략으로 전환했을 때의 보수의 변화 -c + 2k(lambda_0)/n 을 잘 모르겠다.
12. (402p) 이 페이지의 설명대로 게임을 변형시키더라도 C만 가진 그룹에서 D로 전환될 수밖에 없고, 결국 C는 소멸해야 되는데 앞 페이지의 그림 13.6은 끊임없이 오르락 내리락 하며 유지되고 있는 것이 의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