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영아의 시각 발달의 흥미로운 점.
소리끝
2010. 8. 28. 13:25
1. 형태지각
영아는 출생 초기에는 단순한 도형을 선호하지만 점차 복잡한 도형을 더 선호한다. 단순함에서 복잡함으로의 관심이동은 자신이 형태를 재인하고, 형태를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할 수 있는 범위의 변화 때문에 생기는 것 같다. 즉 단순한 도형일 수록 쉽게 모양대로 framing 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관심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미 단순한 도형이 지겨워지고, 더 이상 해석하는 데 많은 일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 복잡한 도형으로 관심을 옮기는 것이 아닐까.
2. 깊이지각
생후 6개월 된 영아와 생후 2개월 된 영아는 둘 다 깊이지각을 가지지만 6개월된 영아만 공포를 느끼고 2개월 된 영아는 그렇지 않다. 6개월 된 영아는 길 수 있어,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경험을 하였고, 2개월 된 영아는 그렇지 않다. 그러므로 깊이의 차이를 느끼는 것은 이른 시기에 발달되나, 그것에 조심하고 공포를 느끼는 것은 경험에 의한 것이다. 즉, 깊이에 대한 공간적 이해는 시각적인 차이와 떨어지는 경험에서 오는 연합이다.
영아는 출생 초기에는 단순한 도형을 선호하지만 점차 복잡한 도형을 더 선호한다. 단순함에서 복잡함으로의 관심이동은 자신이 형태를 재인하고, 형태를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할 수 있는 범위의 변화 때문에 생기는 것 같다. 즉 단순한 도형일 수록 쉽게 모양대로 framing 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관심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미 단순한 도형이 지겨워지고, 더 이상 해석하는 데 많은 일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 복잡한 도형으로 관심을 옮기는 것이 아닐까.
2. 깊이지각
생후 6개월 된 영아와 생후 2개월 된 영아는 둘 다 깊이지각을 가지지만 6개월된 영아만 공포를 느끼고 2개월 된 영아는 그렇지 않다. 6개월 된 영아는 길 수 있어,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경험을 하였고, 2개월 된 영아는 그렇지 않다. 그러므로 깊이의 차이를 느끼는 것은 이른 시기에 발달되나, 그것에 조심하고 공포를 느끼는 것은 경험에 의한 것이다. 즉, 깊이에 대한 공간적 이해는 시각적인 차이와 떨어지는 경험에서 오는 연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