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
2010년 7월 19일
소리끝
2010. 7. 19. 18:44
1. 아.. missA.. 박진영 정말 오래간다. 박진영 스타일은 아직 한국에서 완전히 소비되지 않았다. 무너지나 무너지나 싶다가도 항상 더 세련된 결과물을 내보이는 박진영 정말 대단하다. 작사, 작곡, 편곡, 안무.. 놀랍다.
2. 네트워크의 기본성질 중 하나가 평균 거리(length)다. 두 노드 간에 최단 거리의 평균을 length라고 하는데, 이 length를 구하는 코딩을 하는 게 만만치가 않다. 물론 어떻게서든 구할 수 있는데 문제는 속도. 예전에 매틀랩으로 짰을 때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과전산실에서 여러대 컴퓨터를 한꺼번에 돌렸다. 이번엔 그 때보다 훨씬 좋은 노트북으로 R로 짜서 돌리는데 그 때보다 더 걸리는 것 같다. 매틀랩이 느리다는 건 그 때 알았지만, R은 더 느린 것 같다. 분명 그 때보다는 더 시간이 적게 걸리는 알고리즘인 줄 알았는데, 속도가 절망적이다. 절망적이라는 것은 노드 1000개짜리를 돌려서 구하는데, 이건 뭐 1시간이 지나도 끝이 안 나서 그냥 꺼버려서 사실 얼마나 걸릴지 모른다. 이런 간단한 거도 최적화를 못 시키니 걱정이다.
3. 나는 손 피부가 온전했던 적이 없다. 습진, 알러지, 아토피. 오래된 약은 잘 먹히지도 않고, 그렇다고 날 때마다 병원을 갈 수도 없는 노릇이다. 정말 가렵다. 핸드크림을 바르지 않아서 그런 건가. 익숙해지지 않는 괴로움이다.
2. 네트워크의 기본성질 중 하나가 평균 거리(length)다. 두 노드 간에 최단 거리의 평균을 length라고 하는데, 이 length를 구하는 코딩을 하는 게 만만치가 않다. 물론 어떻게서든 구할 수 있는데 문제는 속도. 예전에 매틀랩으로 짰을 때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과전산실에서 여러대 컴퓨터를 한꺼번에 돌렸다. 이번엔 그 때보다 훨씬 좋은 노트북으로 R로 짜서 돌리는데 그 때보다 더 걸리는 것 같다. 매틀랩이 느리다는 건 그 때 알았지만, R은 더 느린 것 같다. 분명 그 때보다는 더 시간이 적게 걸리는 알고리즘인 줄 알았는데, 속도가 절망적이다. 절망적이라는 것은 노드 1000개짜리를 돌려서 구하는데, 이건 뭐 1시간이 지나도 끝이 안 나서 그냥 꺼버려서 사실 얼마나 걸릴지 모른다. 이런 간단한 거도 최적화를 못 시키니 걱정이다.
3. 나는 손 피부가 온전했던 적이 없다. 습진, 알러지, 아토피. 오래된 약은 잘 먹히지도 않고, 그렇다고 날 때마다 병원을 갈 수도 없는 노릇이다. 정말 가렵다. 핸드크림을 바르지 않아서 그런 건가. 익숙해지지 않는 괴로움이다.